Categories
info

통신료 20% 요금할인, 혜택이야? 꼼수야?

통신료 20% 요금할인, 혜택이야? 꼼수야?
우리나라 기업들의 고질적인 소비자 등쳐먹기는 아직도 계속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에 단통법이 도입된 이후 핸드폰 유통 구조에 많은 변화가 있었죠. 모두 똑같이 비싸게 사서 평등하게 호구가 되자는 단통법. 단통법의 해악에 대해서는 논외로 하고요. ^^;
단통법은 크게 단말기 보조금을 지원받거나, 보조금 대신 24개월의 약정기간 동안 20%의 요금할인을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죠. 그런데 20% 요금할인을 선택할 경우 24개월의 약정기간이 끝나고도 휴대폰을 계속 사용하는 가입자들에게 12개월 이상 약정을 할 경우 추가 약정기간 동안 20% 요금할인을 계속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추가 약정기간이 소비자한테는 무조건 유리합니다. 12개월의 약정기간을 지키면 소비자는 20%의 요금할인을 받을 수 있고, 만약 12개월의 약정기간을 지키지 못하면 추가로 약정할인을 받은 금액만 돌려주면 되기 때문입니다. 즉, 약정기간을 못 채우더라도 기본으로 할인을 받았던 요금 외에 되돌려줄 게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동통신사에서 이러한 24개월 이후 20% 요금할인제도를 제대로 알리지 않아 자그마치 1천만명이 넘는 가입자들이 손해를 보고 있다고 합니다.
 
처음 24개월 약정만료자 중 할인혜택을 받지 않고 있는 1078만명 가운데 519만명은 사용기간이 이미 36개월을 넘어, ’12개월 이상 약정’ 요건도 충족한 상태라고 하는데요. 이들이 약정만 받았어도 매월 290억원이나 되는 요금을 절약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개인당으로는 2만8천원이 넘는 돈이죠.
통신사들은 24개월 약정만료자들에게 이 같은 할인제도를 안내하는 문자를 1회 발송한다고는 하지만, 제대로 확인 못 하고 그냥 넘어가면 할인을 못 받게 되는 것이죠.

이통사 입장에서는 당연히 소비자가 20% 할인을 받지 않는 게 자사의 이익으로 돌아가니 크게 알리고 싶진 않았을 겁니다. 하지만 20% 요금할인의 취지가 소비자에게 혜택을 주고자 했던 것이었다면, 차라리 자동으로 20% 할인이 연장되었으면 좋았을 텐데요.
혜택이 이통사의 꼼수로 전락해 소비자의 권리가 이동통신사의 호주머니로 들어간 꼴이네요. 단통법도 많은 손질이 필요해 보입니다. 앞으로 어떻게 바뀔지 지켜봐야겠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