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관리를 정말 칼같이 하시는 분들 보면 차계부까지 쓰면서 애정을 쏟으시는데요. 저는 그렇게까지는 잘 안되더라고요. 다만, 자동차 엔진오일 교체와 타이어에는 좀 신경을 쓰는 편인데요. 자동차 엔진오일은 교체 시기를 지켜주는 것만으로도 차의 수명에 큰 영향을 주고, 타이어는 안전에 직접 영향을 주죠.
오늘은 자동차 엔진오일 교체 시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타이어는 교환 시기를 동전으로 간단하게 확인해볼 수 있지만, 자동차 엔진오일 교체는 권장하는 주기가 조금씩 다르더라고요. 보통 자동차 회사 설명서에는 6개월 혹은 1만~1만 5천㎞마다 교환을 권장하지만, 카센터에 가면 매 5천㎞ 주행 후 교환을 권하는데요.
보통 엔진오일 교환 비용에 10만원 이상 들어가는데 교환 주기에 따라 비용이 2~3배까지도 더 들게 됩니다. 도대체 언제 교체하는 게 적당한 걸까요?
사실 자동차 회사에서 권하는 1만~1만 5천㎞ 교환이나 정비소에서 권하는 3~5천㎞이나 둘 다 맞을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습니다. 바로 운전자의 주행 스타일이나 차량의 주행 조건에 따라 다르기 때문인데요.
보통 단거리 운전을 반복하거나 급가속이나 급정거를 자주 하는 등 자동차를 운전을 험하게 하는 등의 가혹 조건 하에서는 엔진오일을 자주 교환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사실 가혹 조건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을 수 있는데요. 가혹 조건이라 하면 매일 출퇴근을 5~6㎞의 단거리로 주행하거나, 공회전을 많이 할 경우, 먼지나 모래가 많은 도로를 주행할 경우가 해당합니다.
한국소비자원에서 조사한 결과를 보면 일반인들의 엔진오일 교환 주기는 평균 6,100㎞를 운행한 후 교환한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일반 자동차보다 시내주행도 많고 주행거리도 긴 택시가 평균 1만㎞에서 교환을 한다는군요.
보통 엔진오일을 교환할 때 색깔이 새까매진 폐엔진오일을 확인할 수가 있는데요. 사실 엔진오일에서 중요한 것은 엔진의 마모도나 오일의 점도이지 색깔이 중요한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5천㎞나 1만 5천㎞나 엔진오일 색상은 둘 다 시꺼멓다고 하니까 안심하셔도 좋겠습니다. ㅎㅎ
평소에 자동차를 잘 관리하고 타는 것은 나중에 큰 비용을 막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불필요한 관리를 하지 않는 것 역시 비용을 줄이고 자원을 절약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결국, 본인의 운전 습관과 주행 환경을 확인해서 적절한 엔진오일 교환주기를 알고 있는 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