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info

의사의 종류 비교 – 일반의, 전공의, 전문의는 무슨 차이?

어렸을때 장래희망을 얘기할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게 바로 ‘의사’죠. 점점 커가면서 공부에 소질이 없음을 깨닫고, 현실과의 벽을 마주하게 되는데요. ㅠㅠ

막연하게 동경했던 의사도 종류가 굉장히 많더라고요. 전문의는 뭐고, 레지던트는 뭔지 헷갈리기 일쑤입니다. 오늘은 일반의, 전공의, 전문의를 중점으로 의사 종류를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의사의 종류 3가지

의사 종류는 크게 일반의와 전공의와 전문의의 3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습니다. 각각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1. 일반의

일반의는 의대를 졸업해 의사면허시험에 합격하면 얻을 수 있는 자격증 입니다. 보통은 개업한 의사들 중에서 전문의가 아닌 의사를 일반의라고 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 의학이나 치과의학을 전공하는 대학을 졸업한 사람, 한방의학을 전공하는 대학을 졸업한 사람, “보건복지부 장관이 인정하는 외국의 대학을 졸업하고, 외국의 면허를 받고 나서, 예비시험을 통과한 사람” 중 국가 시험에 합격한 자가 의사면허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전공의

전공의는 전문의 전 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수련병원등 수련기관에서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 수련하는 의사를 말하는데요. 여기에는 인턴과 레지던트가 있습니다. 인턴은 의과 대학을 졸업하고 의사 면허를 받은 후 임상 실습을 받는 전공의로 1년간의 기간을 거치게 됩니다. 인턴 과정을 마친 뒤에 레지던트 과정을 밟게 되고요.

3. 전문의

전문의는 의학의 일정한 분과를 전문으로 하는 의사로서 보건의료관련 자격증 중에서 가장 난이도가 높은 전문의 자격시험에 합격해야 합니다. 아무래도 해당 분야에 가장 많은 의학지식을 가지고 있겠죠?

전문의 일반의 구별방법

그렇다면 전문의와 일반의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요? 병원에 들어가서 다짜고짜 의사 자격증을 보여달라고 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요. ㅎㅎ 그럴때는 밖에서 간판을 유심히 살펴보면 됩니다. ^^

일반적으로 전문의 자격증이 있는 병원이라면 간판에 OO정형외과, OO성형외과, OO 피부과 등으로 표시합니다. 의료법 시행규칙 40조에 따라, 전문의는 간판에 과목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일반의가 진료과목을 표기해 간판을 달 경우에는 진료과목의 글자 크기를 의료기관 명칭 표시 글자의 1/2 이내로 작게 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전문의만 찾아다녀야 할까요? 물론 안그래도 됩니다.

의학적인 지식은 의대 재학중에 모두 배우게 되고, 졸업하고 국가고시에 합격해서 면허 따서 일반의가 되면 거의 대부분의 의료행위가 법적으로도 가능합니다. 내과를 진료하든 외과를 진료하든 말이죠.

지금까지 의사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간단한 잔병으로 병원을 찾을때는 크게 상관이 없지만, 조금 신중하게 진료를 받아보고 싶다면, 전문의 일반의 차이를 확인하고 구별방법을 숙지해 두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