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info

여름철 말 못 할 고민! 다한증과 액취증

이 더워지면 신체적 고민이 깊어지는 사람들이 있는데요. 바로 겨드랑이나 손바닥 등의 특정 부위에서 땀이 많이 나는 ‘다한증’과 땀에서 냄새가 많이 나는 ‘액취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죠. 다른 사람들이 땀에 흠뻑 젖은 겨드랑이를 보거나 악수할 때, 또는 근처에 있는 사람이 냄새를 맡고 싫어하는 건 아닌지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겠죠.

여름철이면 더욱 민감해지는 액취증과 다한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다한증은 긴장하면 손이나 발에 땀이 많이 나는 질환을 말하는데요. 일반적인 정도보다 비정상적으로 많이 나는 것을 말합니다. 다한증의 원인은 교감신경 기능의 비정상적인 항진으로 국소적 부위에 과도한 땀으로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느끼는 증상이라고 합니다. 주로 얼굴과 손바닥, 발바닥이나 겨드랑이 부위에 많이 발생한다고 해요.
어느 정도 땀이 많이 나냐면 보통 일반인의 경우에는 하루 600~700㎖의 땀을 흘리지만, 다한증 환자들은 하루에 2~5ℓ를 흘린다고 하니 3~8배나 많은 양의 땀을 흘립니다. 체력적인 소모도 상당할 것 같습니다.

액취증은 겨드랑이의 아포크라인 땀샘에서 분비된 땀이 박테리아에 의해 지방산으로 분해하면서 특유의 고약한 냄새가 나는 것을 말하는데요. 보통 흰색 와이셔츠나 티셔츠를 입을 때 겨드랑이 부위가 노랗게 변하고 악취가 나는 경우를 액취증이라고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안타까운 것은 액취증 환자의 50~60%가 다한증을 동반한다고 하네요.

생활습관으로 다한증과 액취증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목욕을 자주 해 청결을 유지하고 땀이 잘 나는 겨드랑이 부위는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땀 흡수가 좋은 면 소재의 속옷을 자주 갈아입는 게 좋다고 합니다. 하지만 심하면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고 올바른 치료를 받는 게 좋겠죠.

보통 다한증의 치료법은 바르는 약물이나 주사요법을 사용한다고 하는데요. 교감신경절단술 등의 시술적인 방법으로도 치료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수술 후 다른 부위에 땀이 나는 보상성 다한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하죠.

그리고 평소에 데오도란트나 드리클로 같은 땀 냄새 억제제를 사용하는 분도 많으신데요. 효과가 단기적이고 습진이나 염증이 있는 경우 피부 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어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여름이면 더욱 고통받는 다한증과 액취증이지만 먼저 생활 습관 개선으로 증상을 완화하고 정 심하면 병원을 찾아 증상에 맞는 치료를 받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