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info

아이들의 수족구 증상과 예방법

오늘은 한낮이 기온이 25도까지 오르며 그야말로 초여름 날씨를 보이고 있는데요. 날씨가 더워지면 어린아이들이 주의해야 할 질병 중의 하나가 바로 수족구병이죠. 0~6세의 어린아이가 수족구 발병률이 높고 전염성이 있어서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흔히 감염되는 사례가 발생하곤 하는데요. 오늘은 수족구 증상과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수족구병이란?

수족구(手足口)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손, 발, 입안에 물집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영어 병명도 Hand Foot Mouth Disease 라고 하더라고요. ㅎㅎ 수족구의 발병 원인은 장 바이러스인 ‘콕사키 바이러스’ 나 ‘엔테로 바이러스’에 의해 주로 발병한다고 합니다. 

수족구 증상

수족구병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와 접촉하거나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 대변 등을 통해 전염되는데요. 보통 4~6일 정도의 잠복기가 있고 감염되면 손과 발, 입에 물집이 생기며 열이 나게 됩니다. 기침이나 콧물 등 감기 증상 없이 열만 나는 경우 수족구를 의심해야 합니다. 보통은 수족구 증상이 나타난 뒤 자연스럽게 낫는 게 일반적이지만 간혹 뇌수막염이나 뇌염과 같은 신경계 합병증을 유발하거나 드물게 생명을 앗아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그리고 어린 아이들은 입 안의 물집으로 인해 잘 먹지를 못하기 때문에 입원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말을 잘하지 못하는 영유아는 부모님들께서 수족구를 빨리 확인하기가 어렵습니다. 입 안에 물집이 생기면 아이가 통증으로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데, 단순히 밥을 안먹는다고 생각하기 쉽죠. 게다가 입 안에 생긴 수포의 경우에는 잘 보이지도 않습니다. 밥을 잘 안먹거나 양치를 할 때 평소와는 다르게 무척 싫어할 경우에 수족구를 의심해 볼 만 합니다. 그리고 날씨가 더워질 무렵에 주로 발병하다 보니 아이의 손발에 생긴 물집을 벌레에 물렸다고 생각하거나 땀띠로 보아넘기는 경우도 있고요. 
 

수족구병 예방법

수족구는 예방 백신이나 치료제도 없기 때문에 예방이 최선입니다. 수족구 최고의 예방법은 바로 손씻기인데요. 외출 후나 배변 후, 식사 전후로 손 씻기를 습관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용변으로도 올을 수 있으니 부모님도 기저귀를 갈고 난 후 손을 반드시 깨끗이 씻어주셔야 하고요. 그리고 수족구병 유행 시기에는 사람이 많은 장소에 가지 않는 게 좋겠죠.

▲ 올바른 손씻기

수족구에 걸리면 즉시 병원을 찾아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를 받아야 하는데요. 아이가 완치되기 전까지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등의 단체생활에 보내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수족구는 재발률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철저한 개인위생관리를 습관화해서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건강정보] – 새학기에 아이들이 주의해야 할 전염병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