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친구의 아버님이 신장이 좋지 않으셨는데요. 정기적으로 투석을 받으시면서 친구도 힘들어했던 기억이 납니다. 예전에 모 그룹의 여가수도 신장에 세균감염이 발생하는 신우신염으로 고생했다는 기사가 있었는데요. 저도 가끔 소변이 너무 진하거나 거품이 있으면 내심 콩팥 걱정이 되곤 한답니다. ㅎㅎㅎ
콩팥이라고도 부르는 신장은 혈액 내 노폐물을 제거하고 체내 영양물질과 수분 대사를 조절하며 혈압에 관여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콩팥과 관련된 많은 질병 중의 하나인 단백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단백뇨는 쉽게 말하면 단백질이 소변으로 배출되는 질병입니다.
우리 몸의 5대 영양소 중 하나인 단백질이 빠져나간다니 왠지 아까운 생각이 먼저 드는데요.
어쨌든, 아까 신장은 노폐물을 제거하고 몸속에 있는 영양소와 수분을 적정하게 유지한다고 했잖아요? 신장은 사구체를 통해서 하루에 약 180리터의 수액을 걸러내고 이 중에 99%는 재흡수하고 1~1.5리터만 소변으로 배출을 한다고 하네요. 여기서 사구체에 문제가 생겨 다량의 단백질을 소변으로 배출하게 되는 질병을 단백뇨라고 합니다.
단백뇨라고 해서 무조건 신장에 큰 이상이 있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고 하는데요.
검사를 받기 하루나 이틀 전에 격렬한 운동을 했거나 육류 등 단백질을 지나치게 많이 섭취했을 경우, 또는 고혈압이나 당뇨병이 있을 때 수치가 높게 나올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신장이나 전신질환이 원인이 되어 단백뇨가 검출된다면 그때는 문제겠지요.
보통 단백뇨 검사는 여러차례 반복해서 검사한다고 하는데요. 소변검사를 통해서 신장 이상의 70~80%를 진단할 수 있다고 합니다.
만약 건강검진에서 단백뇨가 검출되면 정밀검사를 받아야 하는데요.
일반적인 단백뇨의 치료방법은 식이요법을 병행한 약물치료를 한다고 합니다.
질병이 생겨 치료를 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예방이 우선인데요.
신장 건강을 위해서는 적절한 운동, 균형 잡힌 식사, 콜레스테롤 관리, 적정한 체중을 유지 등의 좋은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게 필수라고 합니다.
그리고 음식을 싱겁게 먹고, 금연과 혈압 조절 등도 중요하다고 하니 추운 겨우내 운동을 못 하셨던 분들도 따뜻해진 봄 날씨에 가벼운 운동부터 시작해 보는 건 어떨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