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리운용이란 특정한 자산을 일반적 자산과 구분해서 운용하는 것을 뜻합니다. 분리운용은 일반계정과는 별도로 분리계정을 설정해서 실시하게 됩니다. 또한 분리계정은 단일한 거액의 계약만을 하나의 분리계정으로 하는 특정분리계정(special separate account)과 복수의 계약을 하나의 분리계정으로 하는 합동분리계정(pooled separate account)으로 나뉘어집니다.
분리운용의 목적은 일반계정에 부과된 자산규제를 피해서 고이율을 실현하며, 자산의 시가평가를 통해서 투자실적을 직접적으로 급부에 반영시키는 데에 있습니다. 분리운용의 장점으로는 고객의 니즈에 따른 운용을 할 수 있는 점과 그때 그때 가장 유리한 운용대상에 집중투자할 수 있는 점 등이 있습니다.
반면에 단점으로는 이율의 보증이 없고, 그 투자실적이 직접적으로 급부에 반영되는 것이기 때문에 고객이 투자리스크에 노출되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분리운용은 1960년대 초두에 미국의 기업연금에서 채용되어, 그 후 개인변액보험의 등장에 따라 개인보험분야에도 보급되어 있고 영국이나 독일에서도 도입되고 있습니다.
Categ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