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하다 보면 도로에 설치된 과속방지턱이 항상 신경 쓰이죠. 무심결에 속도를 줄이지 않고 그대로 통과한다면 덜컹거리는 소리와 함께 차량 하부가 긁힐 염려도 있고요. ㅠㅠ 과속방지턱 높이가 얼마나 되길래 그런 충격이 오는 걸까요?
![]() |
과속방지턱 표지판 |
오늘은 과속방지턱 높이 및 규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과속방지턱은 일반 도로 구간에서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강제로 낮추기 위하여 길바닥에 설치하는 턱을 말하는데요. 설치 목적은 주거 환경이나 보행자 보호를 한다고 할 수 있죠.
과속방지턱의 주요 설치 지역은 어린이 보호구역이나 주택가 등으로 차량이 속도를 30km/h 이하로 낮춰야 하는 곳에 설치합니다. 고속도로나 고속화도로, 국도나 지방도 등 간선도로와 터널, 교량, 교차로 및 버스 정류장으로부터 20m 이내에는 설치할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과속방지턱 높이 및 규격
국토교통부가 정한 과속방지턱은 높이가 10cm, 폭이 3.6m로 정해져 있습니다. 노란색과 하얀색을 번갈아가며 사선으로 칠하게 되는데요. 요즘 흔히 볼 수 있는 고무 재질의 조립식 과속방지턱은 검정색과 노란색의 조합으로 되어 있죠. 과속방지턱의 색상 두께는 45~50cm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과속방지턱은 형태별로 볼록 원호형, 볼록 사다리꼴형, 오목 원호형, 오목 사다리꼴형이 있는데, 각져있는 사다리꼴은 천천히 지나더라도 충격이 상당히 크죠.
운전 중 과속방지턱이 거슬리고 불편한 부분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안전을 위해 만들어진 과속방지턱이니만큼 규정 속도를 준수해서 불의의 사고를 당하는 일이 없어야겠죠~
지금까지 과속방지턱 높이와 규격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