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info

고혈압약 종류 및 부작용

저희 부모님은 두 분 다 고혈압이신데요. 그래서 고혈압약을 계속 복용하고 계세요. 아침에 일어나시면 혈압약부터 챙겨 드시는 게 일과의 시작이었죠. 제가 어렸을 때부터 두 분이서 늘 저한테 하시는 말씀이, ‘혈압 조심해라. 젊어서 관리해야 한다.’라는 말씀이셨습니다. ^^; 하지만 두 분의 바람과는 다르게 저도 고혈압 전 단계에 와 있는 것 같아요. ㅠㅠ 

이 정도면 저도 심상치 않죠? ㅠㅠ

우리나라는 자각증상이 거의 없는 고혈압이 50대는 34%, 60대는 54%가 해당한다고 하는데요. 성인은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분류된다고 합니다.
혈압은 완치가 어렵고 자연적으로 치유되기 힘들기 때문에 대부분 약물치료를 하시는데요. 고혈압은 정해진 시간에 맞춰 꾸준히 복용하는 게 중요하다고 합니다.
고혈압약의 종류는 무척 많은데 크게 세 가지로 나눠보면 ▲수분 배설을 촉진해서 혈액량을 줄이는 약, ▲심장 기능을 억제하는 약, ▲혈관을 확장시키는 약으로 나눌 수 있다고 합니다.
그중에서 처음 처방하는 약은 혈압강하 효과가 크고 부작용이 적은 혈관을 확장시키는 약을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고혈압약의 부작용은 일반적으로 어지러움, 졸음, 피로, 부종, 안면홍조, 마른기침 등이 있는데, 이러한 부작용은 복용하는 고혈압약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합니다.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 의사와 상의해서 적절한 조치를 하는 게 중요한데요. 혈압약의 용량을 조절하거나 다른 약으로 변경할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진통제로 쓰이는 ‘나프록센’이나 해열제로 쓰이는 ‘이부프로펜’ 등과 감기약 같은 경우는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함께 복용 시 의사와 반드시 상의하셔야 해요.

저도 평소에 고혈압에 대해 관심이 많아서 지난번에 고혈압 관련 내용을 포스팅(올바른 혈압 재는법과 유의해야 할 혈압 재는방법) 한 적도 있는데요. 잘 아시다시피 고혈압은 완치보다는 잘 관리하고 조절해야 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고혈압약 복용과 함께 운동, 식단관리 스트레스 조절 등 자기절제와 노력이 중요합니다. 고혈압을 싸워 이겨야 할 적이 아니라 나를 절제할 수 있게 도와주는 친구로 받아들이는 마음가짐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