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산모가 임신을 하면 훨씬 더 조심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일반 산모에 비해 엄마는 물론이고 아기 역시 합병증을 동반하기 쉽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고위험 산모는 임신 전이나 후에 특수한 검사나 관리, 치료를 추가로 받기도 하는데요. 오늘은 고위험 산모와 건강관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런 분들이 고위험산모
일반적으로 35세 이상의 고령 임신이나 고도비만이 있는 산모, 내과적 질환을 앓고 있는 산모에게 발병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는데요.
30대가 넘은 임산부는 20대에 임신을 하는 것 보다 각종 혈관질환과 고혈압의 위험이 무려 2~4배가 높아진다고 합니다. 그러나 고위험 임신의 다양한 원인 중 하나가 고령임신일 뿐이지, 나이가 많다고 해서 무조건 고위험임신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임산부의 연령은 고위험 임신의 다양한 원인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다양한 내과적 질환 중에서 당뇨나 갑상선질환, 천식, 고혈압 등 만성질환을 가진 산모도 고위험산모에 해당하는데요. 임신 중에 당뇨는 산모에게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고, 출생한 태아에는 저혈당증이나 호흡곤란증, 태아 기형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만이나 당뇨에 대한 가족력이 있거나 이전 임신에서 당뇨가 있었다면 임신 확인 시 혈당 검사를 꼭 시행하고 식이요법이나 가벼운 운동 등으로 철저히 관리해 주는 것이 필수라고 합니다.
고위험 산모의 건강관리
규칙적인 식사와 혈압체크는 필수고 적절한 운동을 병행해 고혈압이나 당뇨 관리와 더불어 과체중이나 허리통증, 변비 등을 예방하는 게 좋겠죠. 물론 적당한 운동은 산모 우울증 등 정신 건강에도 도움이 되고요. 운동은 하루 30분 주 3~4회 정도로 운동하면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정도로 가볍게 하는게 좋다고 하는데요. 만약, 운동 중에 어지럽거나 질 분비물이나 출혈이 되고 태아 움직임이 감소하게 되면 즉시 운동을 중단하고 의사를 찾아야 합니다.
임신은 인생에서 가장 큰 축복 중에 하나가 아닌가 싶어요. 생명의 탄생을 앞두고 10달 동안 조심해야 할 것들도 참 많은데요. 고위험산모는 특별히 더욱 신경을 써야 할 것들이 많을 수 밖에 없죠. 요즘 점점 결혼시기가 늦어지는 추세인만큼 고령의 산모가 늘고, 결국 고위험군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