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들은 바쁜 일상 속에서 시간을 내서 운동하기가 쉽지 않죠. 실제로 시간이 없는 경우도 많지만 결국은 의지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캐나다 연구팀의 논문에 따르면 격렬한 운동 1분의 효과는 45분간 일반적으로 운동한 것과 비교해서 당뇨병 예방 및 심폐기능 개선에 비슷한 효과를 낸다고 합니다.
캐나다의 연구팀은 평소에 운동과 거리가 먼 평균 27세의 남성 25명을 격렬한 운동, 지속적인 운동, 운동하지 않는 3그룹으로 나눠서 실험을 진행했다고 합니다.
‘격렬한 운동 1분 그룹’은 자전거 페달을 전력으로 20초 동안 밟는 운동을 3회, 정확히 1분 동안 실시하도록 했다는데요. 중간에 약 2분간은 가볍게 밟도록 했고,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포함해 10분간 운동을 했다고 합니다.
‘지속적인 45분 운동 그룹’은 최대심박수의 70% 정도로 45분간 자전거 페달을 계속 밟게 하는 유산소 운동을 진행했고, 준비운동 등을 포함해 모두 50분간 운동했다고 하네요. 제 경험에 의하면 최대심박수의 70%면 저강도 운동은 아닌 것 같아요. 어느 정도 힘들다는 생각이 들 정도인 것 같습니다. 제가 저질 체력이라 그럴지도 모르지만요. ^^;
‘운동하지 않는 그룹’은 말 그대로 운동을 안 했을테니, 이런 실험 참가자라면 저도 지원하고 싶군요. ㅋㅋ
12주가 지난 후 효과를 조사해 보니 격렬한 운동이든 지속적인 운동이든, 운동을 한 그룹은 모두 심폐기능 수치가 20% 정도 향상되고 인슐린 감수성 지수도 크게 개선되었다고 하는데요. 인슐린 감수성 지수는 당뇨병에 걸리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라고 합니다. 그리고 예상대로 ‘운동하지 않는’그룹은 변화가 없었고요.
하지만 격렬한 운동 1분을 하면 지속적인 운동보다 몸에 4~5배의 무리를 주기 때문에 체력이 약하거나 나이가 많으신 분들은 절대 주의해서 운동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
운동을 하지 않는 것보다는 1분이라도 운동을 하는 게 좋고, 집중해서 격렬하게 한다면 1분이더라도 45분의 지속적인 운동 효과가 있다는 이 내용은 의지와 집중력만 있다면 시간은 문제 될 게 없다는 교훈을 주는 것 같습니다. ^^
사실, 이 연구에서는 운동을 실험대상으로 결과를 도출해 냈지만, 딱히 운동에만 적용되는 내용은 아닌 것 같습니다. 저는 항상 ‘시간이 없어서’ 혹은 ‘피곤해서’ 라는 변명으로 일이나 공부를 쉬엄쉬엄하는 죄책감을 쉽게 덜어내곤 하는데요. 앞으로는 ‘격렬한 운동 1분’의 교훈으로 의지와 집중력을 가지고 동기부여를 이끌어 내는 생활습관을 가져야겠습니다. ^^